관련뉴스

시각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


2025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실무자 교육 진행

작성일 : 2025-10-22 오전 9:42:45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실무자 교육 진행

우리 센터는 지난 320일과 21일 이틀에 걸쳐 전국 각 지역에 있는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실무자 45명을 대상으로 경기도 화성시 푸르미르 호텔에서 ‘2025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실무자 교육을 진행했다.

 

실무자 교육은 전국의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담당자의 역량을 강화하여 업무 수행에 대한 지역 편차를 줄이고, 17개 시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광역센터의 올바른 운영을 도모하기 위해 해마다 주요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교육 내용은 크게 이론과 현장 교육으로 구성하였다. 이론 교육을 통해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등 관련 법률, 그리고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의 종류별 기능을 소개하였다. 행사장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점자블록, 점자표지판 등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의 올바른 설치에 대한 이론 교육 내용을 확인해 보는 현장 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육과 함께 올해 진행하는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의 올바른 설치 기준 정립 및 개발 연구'의 참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연구 항목에 대한 실무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공중 화장실 선형블록 유도 관련하여 BF 인증에서 설치 권장하고 있는 공용 통로 입구 촉지도식 안내판까지만 유도하는 것보다 실제 남녀 화장실 입구 점자표지판까지 정확히 유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촉지도식 안내판까지 선형블록 유도한 후 각 화장실 입구까지는 바닥재의 질감을 달리하여 유도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 같다는 의견도 있어 사고의 다양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음성점멸 피난구유도등의 우선 설치 장소 관련하여 연구진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점으로 재난 발생 위치를 감지하는 시설을 설치하여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인 경우 시각장애인이 대피해야 할 방향이 위층인지 아래층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또한 중도 시각장애인의 시설 이용 편의를 위해 기존의 점자 편의시설뿐만 아니라 양각화 문자, 스마트 기술 등의 병행 도입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교육에 참여한 실무자들은 진행되는 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업무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도 개선 관련 다양한 의견 제시를 통해 각 지역에서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관심과 개선을 위해 고민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자리가 되었다. 앞으로 지역 시각장애인편의시설 실무자들의 전문성 함양과 시각장애인편의시설 관련 업무 활성화를 위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지원 등이 이루어진다면 향후 올바른 시각장애인편의시설이 설치되고 환경 변화에 대응한 시각장애인편의시설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첨부파일

목록(관련뉴스)

  • PC버전
  • 맨위로
한국웹접근성평가센터 모바일 접근성 인증마크

copyright ⓒ 2013 시각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 All Rights Reserved.